리얼 시사 real current affairs 6

카카오 열매 없이 만든 초콜릿~

카카오 열매 없이 만든 초콜릿     최근 카카오 수확량 감소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초콜릿 제조업계는 대체 원료를 활용한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3년전 부터 많은 식품 스타트 기업에서 이러한 시도를 하고 있고 이러한 노력은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계 카카오 열매 재고는 사상 최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고 여러 언론에서 전하고 있습니다. 서아프리카 주요 카카오 재배국의 기상이변, 병해들로 인한 흉작이 원인으로 이야기 되고, 이로 인해 초콜릿 제조사들은 가격 인상이나 대체 원료 탐구와 사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WNWN은 카카오 열매 없이 초콜릿과 유사한 맛과 질감을 구현하는 제품을 이미 2022년에  발효 보리와 콩 그리고 캐롭을 이용해 개발하였고..

카카오 공급 부족에 따른 선물 가격 상승 및 초콜릿 가격 상승 우려!

카카오 공급 부족에 따른 선물 가격 상승 및 초콜릿 가격 상승 우려! 블룸버그 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서 2024년 올해 카카오 선물가격 급등을 전하며 초콜릿 가격의 유례없는 상승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카카오 선물가격이 전례 없는 1톤 당 1만 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의 급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이미 가격이 두 배로 치솟은 상황이며, 초콜릿 생산 비용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는 주요 서아프리카 생산국, 코트디부아르, 가나, 카메룬 등의 열악한 수확으로 인한 것으로, 세계는 연이어 3년째 공급 부족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나무 경작 농부에게 지급되는 부족한 수익과 함께 초콜릿 산업은 충분한 카카오 콩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물리적 공급이 부족한 것..

카카오가 지구온난화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수있다면?

초콜릿과 지구온난화~ 거의 6,000년 전 아마존등에서 발견된 바이오 숯은 다양한 유기 물질을 연소방지를 하기 위해 산소 없이 매우 높은 온도에서 화학적 분해를 통해 얻은 식물을 원료로 하는 숯입니다. 오늘날 이 그린 숯은 종종 토양의 질과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용됩니다. 사용되는 유기물 대부분이 산림 잔류물과 농업 폐기물에서 나오며 일부 회사에서 카카오 나무의 열매를 바이오 숯 생산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 시작하였습니다. 실제로 카카오는 그 고유한 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걸림돌이 있긴 하지만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즉, 고열을 통해 생산된 카카오 나무 열매 숯이 석탄을 대체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많은 초콜릿 애호가들이 알고 있..

모든 사람들이 카카오를 원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카카오를 원합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생산된 4백만 톤의 카카오 중, 유럽은 약 60%를 가공하며 거의 절반을 소비합니다. 미국이 두번째로 많이 카카오를 소비하는 국가입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의 2015-2016년 "유럽과 미국의 공통 소비" 관련 자료를 보면 각 국가의 카카오 소비량과 백분율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은 18.34%로 732,000톤, 브라질은 4.74%로 189,000톤을 각각 소비하였고, 유럽은 46.40%로 1,852,000톤, 아프리카는 3.86%로 154,000톤, 아시아에서 인도는 1.15%로 46,000톤, 중국은 2.05%로 82,000톤, 일본은 4.41%로 176,000톤을 소비하였으며, 호주는 1.90%로 76,000톤..

벨기에 초콜릿 브랜드 “마르콜리니” 한국기업 인수 Marcolini passe dans des mains sud-coréennes

벨기에 초콜릿 브랜드 “마르콜리니” 한국기업인수 Marcolini passe dans des mains sud-coréennes 한국의 사모펀드 ‘MBK 파트너스’의 일본 투자 계열사 ‘VM2 홀딩스’가 벨기에 명품 초콜릿 브랜드 ‘피에르 마르콜리니(Pierre Marcolini)’의 최대 주주가 된다. VM2 홀딩스는 지난 2013년 1,500만 유로(약 218억 원)에 마르콜리니 지분 47%를 인수한 영국계 투자 펀드 ‘Neo Capital’로부터 동일 지분을 인수한다고 화요일(18일) 발표했다. 또한, 벨기에 명품 업체 ‘Delvaux’의 최고 경영자 François Schwennicke와 ‘Aviapartner’의 최고 경영자 Laurent Levaux의 지분도 확보했다. “창립자 피에르 마르콜리..

달콤씁쓸한 초콜릿 산업의 이면~

달콤 씁쓸한 초콜릿 산업의 이면~ 입안을 즐겁게 하는 초콜릿을 싫어하는 사람을 저는 본 적이 없습니다.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하며 모든 감각을 깨우고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게 초콜릿입니다. 마트의 수많은 초콜릿 상품 진열대 앞에서 무엇을 고를지 고민하는 가족이 즐겁게 웃고 유명 연예인을 흉내 내며 고심 끝에 고른 초콜릿을 집어 들어 선택 이유를 자녀에게 우스꽝스럽게 몸짓을 동원해 설명하는 세련된 유럽 여성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대형 초콜릿 생산 유통 업체에게는 말 그대로 꿀 떨어지는 아니 초콜릿 떨어지는 산업임이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초콜릿 산업은 불균형한 공급과 유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카카오나무를 재배하고 카카오빈을 판매하는 남미와 아프리카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