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4

벨기에 맥주는 여름의 과일 같다

벨기에 맥주는 여름의 과일 같다― 시원하게 한 병, 그 안에 담긴 여름 이야기여름엔 입맛도 까다로워진다. 무거운 음식은 물리고, 음료도 너무 달면 질리고, 맹숭맹숭하면 또 심심하다. 그럴 때 딱 좋은 게 있다. 바로 벨기에 맥주다.사실 벨기에 맥주는 종류도 많고 향도 복잡해서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근데 여름이라는 계절에선 얘기가 좀 달라진다. 향이 복잡해도 부담 없이 넘길 수 있고, 그 안에 숨어 있는 과일 향이나 허브 향이 뭔가 여름과 참 잘 어울린다.마치 잘 익은 과일 한 조각처럼.1. 호가든, 시원한 오렌지 물 한 잔 같은여름 맥주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아마 호가든(Hoegaarden)일 거다.밀맥 스타일의 대표주자인데, 부드럽고 약간 탁한 색에 오렌지 껍질과 고수 씨앗이 들어가 있다...

여름에 마시기 좋은 화이트 비어 | Witbier | Bière blanche

여름에 마시기 좋은 화이트 비어 | Witbier | Bière blanche 여름이 다가오면 시원한 음료가 자연스레 생각이 납니다.특히 무더위를 잊게 해주는 상쾌한 맥주는 여름 필수템입니다.이럴때 즐기기 딱 좋은 스타일 중 하나가 바로 화이트 비어 | Witbier | Bière blanche 입니다.화이트 비어는 전통적으로 벨기에에서 만들어지고 전해진 맥주로 밀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특유의 부드럽고 상쾌한 맛이 납니다. 일반적인 맥아와 밀을 섞어 사용하고, 독일 Weizenbier와 달리 오렌지 껍질, 고수씨 등 천연 향신료를 넣어 감귤류의 상큼함과 은은한 향신료 향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입니다.보통 색상은 맥주 이름 처럼 연한 황금빛에 탁한 외관으로 하얗게 보이고, 상쾌하고 과일향 ..

삐꽁 비어 | Picon Bière | Picon Beer

삐꽁 비어 | Picon Bière | Picon Beer 19세기 중반, 프랑스가 북아프리카를 식민지로 삼고 있던 시절, 알제리의 보네(Bône, 현재 Annaba 아나바)라는 항구 도시에 주둔하던 한 젋은 프랑스 군인(가에탕 삐꽁 Gaétan Picon)이 말라리아 같은 풍토병으로 병을 앓고 몸이 쇠약해지자, 약초와 오렌지 껍질을 알코올에 담가 쓴맛이 나는 음료로 몸을 회복하려 하였습니다. 이렇게 1837년 탄생한 것이 훗날 프랑스(북부)와 벨기에 에서 오랫동안 사랑받는 리큐어 삐꽁 Picon 입니다. 처음에는 '아메르 아프리깡(Amer Africain 아프리카의 쓴맛)' 이라는 이름으로 병에 담겨 병사들과 식민 관료들에게 제공되었지만 곧 뛰어난 맛과 효과로 주목받기 시작했고 삐꽁이 본격적인 사업화..

종려주일 과자_꼬흐뉘엘 Cornuelle(꼬흐뉘 Cornue)

종려주일 과자_꼬흐뉘엘 Cornuelle(꼬흐뉘 Cornue) 꼬흐뉘엘 Cornuelle(혹은 꼬흐뉘 Cornue)은 프랑스 중서부 지역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삼각형 모양의 과자입니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종교적 의미와 봄철 축제와 관련된 상징성을 지니고도 있습니다. 꼬흐뉘엘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형태는 카톨릭의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를 상징한다고 여겨집니다. 또한 일부 해석에 따르면 이 과자의 형태는 고대 봄철 다산과 관련된 이교도 축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지역별로 프랑스 샤렁트 Charente 지역의 꼬흐뉘엘은 약 12cm 크기의 평평한 삼각형 과자로,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고 가장 자리는 물경 모양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종..

"웨스트플레테렌(Westvleteren)" 벨기에 수도원 맥주

웨스트플레테렌(Westvleteren) 벨기에 수도원 맥주벨기에에 존재하는 6가지 트라피스트 맥주는 Chimay, Orval, Rochefort, Westmalle, Westvleteren, Achel입니다. 이들 트라피스트 맥주는 1997년 부터 법적인 보호를 받고 'Authentic Trappist Product' 명칭을 부여 받고 있습니다. 이중 희귀하고 구하기 어려운 맥주로 손꼽히는 것이 웨스트플레테렌(Westvleteren) 맥주입니다. 이는 다른 트라피스트 양조장과 달리 유통업체와 협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웨스트플레테렌(Westvleteren) 맥주는 성-식스토(Saint-Sixte) 수도원에서 양조하는 트라피스트(Trappist) 맥주입니다. 트라피스트 맥주는 수도회의 감독 아래에서만 양조..

카카오 열매 없이 만든 초콜릿~

카카오 열매 없이 만든 초콜릿     최근 카카오 수확량 감소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초콜릿 제조업계는 대체 원료를 활용한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3년전 부터 많은 식품 스타트 기업에서 이러한 시도를 하고 있고 이러한 노력은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계 카카오 열매 재고는 사상 최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고 여러 언론에서 전하고 있습니다. 서아프리카 주요 카카오 재배국의 기상이변, 병해들로 인한 흉작이 원인으로 이야기 되고, 이로 인해 초콜릿 제조사들은 가격 인상이나 대체 원료 탐구와 사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WNWN은 카카오 열매 없이 초콜릿과 유사한 맛과 질감을 구현하는 제품을 이미 2022년에  발효 보리와 콩 그리고 캐롭을 이용해 개발하였고..

맥주 용어 간략 정리(K~Z)

맥주 용어 간략 정리(K~Z) 크릭(Kriek) 벨기에에서 유래한 체리 맥주입니다. 람빅(Lambic) 맥주에 체리(신맛 체리 Krieken)를 첨가한 후 수개월 동안 발효 및 숙성시켜 만들어지며, 새콤달콤한 맛이 특징입니다. 체리 이외에도 산딸기, 자두, 복숭아 등 다양한 과일을 람빅 맥주에 첨가한 변형 스타일이 존재합니다. 라거(Lager) 하면 발효 방식(낮은온도발효)으로 만들어진 금빛(blonde) 그리고 갈색(brune) 맥주 계열의 맥주를 통칭합니다. 일반적으로 라거는 금빛(blonde) 맥주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맥주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가지를 가지고 있으며 라거라는 단어는 하면발효 맥주를 위해 시행된 낮은 온도의 보관숙성/2차발효(la garde)와 연관되어 '보관/저..

맥주 용어 간략 정리(A~I)

맥주 용어 간략 정리(A~I)  수도원 맥주(Bière d'Abbaye) 과거에 맥주는 수도원에서 제조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도원 외부의 독립 양조장에서도 제조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수도원' 맥주는 트라피스트(Trappiste) 맥주와 같은 엄격한 기준을 따르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수도원 맥주가 수도원과 관련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히 수도원의 이름을 차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도원이 직접 맥주를 양조하지 않더라도, 수도원의 명성을 바탕으로 레시피를 활용하여 생산될 수 있습니다. 수도원 맥주는 일반적으로 알코올 도수가 높고, 과일 향이 있으며, 쓴맛을 특징으로 합니다. 알파산(Acides Alpha) 홉에 포함된 화합물로, 쓴맛을 내는 주요 성분입니다. 알파산은 물에 잘 녹고 휘발성이..

벨기에 트리펠 맥주 Belgian Tripel Beer

벨기에 트리펠 맥주 Belgian Tripel Beer   벨기에 트리펠 Belgian Tripel 은 벨기에 트라피스트(카톨릭 수도회) 전통에서 유래한 맥주 스타일로  그 이름으로 인해 흥미롭지만 약간의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Tripel 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양조과정에서 알코올 도수 등등 무엇인가가 세 배(Tripel)가 되는 것은 아니며 진한 금빛색을 띠는 매력적인 맥주입니다.  싱글(single), 더블(Dubbel), 트리플(Tripel) 의 기원 1. 싱글(Single) : 아버지 맥주 라는 뜻의 '파테르비어'(Patersbier)라고도 불리고 쎄씨옹(Session) 스타일의 알코올 도수가 4~5도로 가볍고 매우 신선한 뉘앙스를 그 스타일로 갖는 맥주입니다. 주로 수도사들이 스..

기본 맥아와 스페셜 맥아 | Base Malts - Specialty Malts

기본 맥아와 스페셜 맥아 | Base Malts - Specialty Malts  1. 기본 맥아(Malts de base)와 스페셜 맥아(Malts spéciaux)의 비교 기본 맥아(Malts de base) ● 특징 : - 일반적으로 전체 맥아 비율의 최소 60% 이상을 차지. - 맥주 제조에 필요한 수용성 추출물(extrait soluble)과 가수분해 효소(enzymes hydrolytiques)를 제공합니다. ●  종류 : - 대표적인 기본 맥아로는 필스너(Pilsner), 페일 에일(Pale Ale), 비엔나(Vienna), 뮌헨(Munich) 등이 있습니다. - 그러나 경우에 따라 비엔나와 뮌헨은 10~25% 비율로 스페셜 맥아(Malts spéciaux)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스페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