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 정보 real info 31

벨기에 초콜릿 박물관_브뤼셀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

벨기에 초콜릿 박물관_브뤼셀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 벨기에 첫 초콜릿 박물관인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는 브뤼셀 시내 중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랑 플라스 오줌싸게 동상에서 몇분 걸리지 않는 거리 골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줌싸개 동상 앞 수많은 사람들을 지나 벨기에 와플 가게와 감자튀김 가게들을 지나 치다 보면 작은 카누가 있는 골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 이곳이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 입니다. 그냥 그랑플라스와 그 인근 주변을 천천히 구경하면서 돌아 다니다 보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개별 방문 및 그룹으로 방문이 가능하며 2023년 개별 방문 가격의 경우 성인 1인 13유로, 12~26세 청소년/ 65세..

초콜릿과 교회~

초콜릿과 교회~ 카톨릭 교회는 초콜릿 역사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습니다. 17~18세기 유럽의 식민지 개척시절 카톨릭 교회의 힘을 높이기로 결심한 예수회는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주요한 정치세력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신세계의 탐험가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예수회의 선교사들에 의해 초콜릿은 수도원과 수녀원의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유럽 전역에 소개되었습니다. 18세기까지 수도자들과 수녀들은 아즈텍인들이 전하는 방법에 따라 카카오빈으로 초콜릿 음료를 만들었습니다. 1648년 출판된 성직자 토마스 게지 Thomas Gage의 여행서적에서 금욕 생활이 필요한 교회에서 실제적인 종교적 실천 보다 초콜릿 음료에 대한 노하우를 더 많이 이야기했습니다. 신대륙에서 교회는 일반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태도를 취해왔습니다. 초..

카카오빈에서 초콜릿까지 발전 과정 2

음료에서 초콜릿으로 발전 과정~ 코엔라드 반 호우튼 Coenraad Van Houten 유압프레스 초기 초콜릿은 성분이 매우 풍부한 음료였습니다. 지방질인 카카오 버터를 포함하고 그 지방질은 표면에 흥건한 상태로 남게되어 식욕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나았습니다.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여 이 지방질을 제거했던아즈텍인들의 전통처럼 카카오 음료 제조자들은 전분성분이 포함된 물질을 통해 지방질을 어느 정도 흡수, 제거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수년에 걸쳐 쇼콜라티에들은 카카오버터를 제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습니다. 이에 1828년 네덜란드 화학자 코엔라드 반 호우튼 Coenraad Van Houten은 매우 기능적인 새로운 유압 프레스를 특허출원합니다. 이 기계를 통해 카카오빈 분쇄후 카..

카카오빈에서 초콜릿까지 발전 과정 1

카카오빈에서 카카오 음료까지 발전 과정~ 아즈텍인들이 즐겨마신 카카오 음료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핫쵸코같은 크리미하고 풍미가 풍부하며 부드러운 음료하고는 크게 달랐습니다. 아즈텍인들의 카카오 음료는 쓴맛이 나고 기름지며 차가운 상태에서 제공되었습니다. 이 음료를 접한 유럽인들이 다양한 기술을 하였지만 16세기 이탈리아 식물학자 지라몰로 벤조니 Giramolo BENZONI는 아즈텍인들의 음료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아즈텍인들은 필요한 만큼 카카오 빈을 가져와 토기에 넣고 불 위에서 말립니다. 그런 다음 두 돌 사이에서 부수고 가루로 만듭니다. 그리고 얻은 그 가루를 호리병박에 담고 물로 조금씩 적셔가며 고추를 첨가합니다. 검소한 사람들은 카카오가루, 옥수수, 고추 조금과 아니스 열매만 첨가합..

초콜릿 보관 주의 사항~

초콜릿 보관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보자~ 초콜릿과 초콜릿을 이용한 생산품을 영원히 보관할 수는 없고 초콜릿 제품에 따라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맛이 변질되고, 향이 달라지며, 초콜릿의 지방질이 도드라져 불쾌한 식감을 주기까지 합니다. 따라서 초콜릿 본연의 맛을 지키고 예기치 못한 변질, 변형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제품을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능한 최소 1일부터 최대 15일까지 기간내에 초콜릿이 최상의 맛과 향을 지니고 있을 때 소비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소비에 가장 이상적인 초콜릿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요소별 간략한 정보 아래 제공하니 초콜릿 생산 및 소비에 참고 하면 좋겠습니다. 이상적인 초콜릿 보관을 위해 고려해야하는 요소들~1. 시간 가능한..

블론드 초콜릿, le Chocolat blond, blonde Choclate : 카라멜화된 화이트 초콜릿~

블론드 초콜릿, le Chocolat blond, blonde Choclate : 카라멜화된 화이트 초콜릿~ 블론드 초콜릿은? 블론드 초콜릿은 다크 초콜릿, 밀크 초콜릿 그리고 화이트 초콜릿과 함께 최근 개발된 색상의 초콜릿 입니다. 2012년 Valrhona 작업장에서 탄생한 블론드 초콜릿은 다양한 초콜릿 형태, 태블릿, 바, 프랄린등으로 만들어지고 제과에서도 사용됩니다. 블론드 초콜릿 또는 델세이 Dulcey 초콜릿으로 불리우고 판매됩니다. 요리중 뭔가를 잊어 버리고 내버려 두었을때 훌륭한 요리가 탄생합니다. 프랑스의 유명한 사과 파이 Tarte Tatin의 경우가 그러합니다. Tatin 자매중 한명이 실패한듯한 사과파이 위에 반죽을 추가하여 새로운 레시피의 파이를 만든 것 처럼 블론드 초콜릿도 비슷..

유럽의회 디렉티브(재량준칙) 2000/36/CE에 따른 초콜릿 정의~

유럽의회 디렉티브(재량준칙) 2000/36/CE에 따른 초콜릿 정의~ 유럽에서 초콜릿이란? 유럽에서는 초콜릿 및 카카오 생산품을 유럽의회 차원에서 규정하고 있다. 인간이 섭취하는 식품이기 때문에 까다로운 조건에 따라 각 생산품이 초콜릿인지 아닌지 정의 한다. 초콜릿에는 대부분 카카오 버터를 유일한 지방질로 사용하는 곳이 많지만 유럽 재량준칙(Directive 20/36/CE)에 따르면 카카오 버터 이외 식물성 재료(지질 lipid)의 첨가는 허용 되고 있으며 최대 5%까지 가능하고 모든 유럽회원국이 허용해야한다. 우리가 살펴 볼 수 있는 많은 초콜릿 제품 특히 초콜릿 스프레드에는 식물성 유지로, 팜유, 유채유 등을 카카오 버터를 대체하여 사용한 제품들이 많이 있다. 유럽의회의 디렉티브(재량준칙) 에 명시..

초콜릿 향기의 신비~

초콜릿 향기의 신비~ 초콜릿 향기의 원천? 초콜릿의 향기는 카카오의 다양한 종류뿐만 아니라 테루아(Terroir)와 카카오 빈의 가공및 발효과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카카오 종류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Criollos 는 매우 섬세한 카카오 향을 나타내는 품종이고, Forasteros는 종종 카카오 특유의 씁쓸한 맛을 보이고, Trinitarios는 강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Criollos와 유사한 섬세한 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테루아에는 와인생산을 위한 포도재배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유사하게 기후, 토양의 풍성함, 문화 및 전통적인 재배 기법등이 초콜릿의 향기와 맛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초콜릿을 위해서는 특히 카카오 빈에서부터 초콜릿 완제품까지의 가공과정이 초콜릿 특유의 향기와 맛을 창..

미국 초콜릿 : 허쉬의 밀크 초콜릿~

미국 초콜릿 : 초콜릿 역사, 정보, 각 국가별 초콜릿 전파 과정 미국 초콜릿 유입과정~ 초콜릿은 미국으로 1765년 대서양을 건너 들어 온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아마도 동부 해안의 식민지로 가는 영국군인들의 주머니 안에 들어있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들 합니다. 또한 페루 리마에 정착한 이탈리아 제과사 Domingo Ghirardelli는 카카오 빈을 남미에서 수출하여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골드헌터들에게 공급을 했습니다. 스페인이 제어하던 자메이카에서 스페인이 통제권을 잃은 후 카카오 빈이 미국에 도달한 것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제3대 대통령인 토마스 제퍼슨은 "건강과 영양면에서 초콜릿의 우수성은 스페인에서 이미 확인된 듯이 미국에서도 차와 커피보다 더 빨리 선호될 것입니다."라고 예상했습니다...

영국 초콜릿 : 퀘이커 산업가들의 활약~

영국 초콜릿 : 초콜릿 역사, 정보, 각 국가별 초콜릿 전파 과정 영국 초콜릿 유입 과정~ 영국인들도 카카오를 상대적으로 늦게 알게 되었습니다. 16세기에는 이 새로운 식품에 아무런 관심도 가지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스페인의 항구와 상업항로를 습격하는 해적들조차도 카카오빈의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가치를 모른체 통째 버렸다고 합니다. 초콜릿이 마침내 영국에 도착했을 때, 거의 동시에 아시아로 부터 차와 아프리카로부터 커피라는 두 자극적인 기호 식품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영국사회에서 커피가 우선적으로 매력을 끌었고 초콜릿에 사람들이 열광하는 것도 그리 늦지는 않았습니다. 1657년 첫번째 초콜릿 가게는 프랑스인에 의해 런던에 세워졌었습니다. 영국에서도 초콜릿의 가격이 비싸 초콜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