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0

벨기에 유명 초콜릿 브랜드 모음~

벨기에 유명 초콜릿 브랜드 모음~ 1. Meurisse 머리스 1845년 파티시에(pâtisser) 였던 아돌프 머리스(Adolphe Meurisse)가 안트워프(Anvers)에 창업한 쇼콜라트리(Chocolaterie) 이고 벨기에 왕국에서 현재 가장 오랜된 쇼콜라트리입니다. 2020년 까지 이전 약 10여년 시장에서 제품을 찾아 볼 수 없었다가 2020년 창업자의 6세대 후손들이 Mondelez로 부터 브랜드를 매입하여 가족사업을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페어트레이드(fair trade), 유기농 같은 현재 다양한 식품군의 트렌드를 준수하고 따라가며 전통과 현대의 맛을 조화 시켜 새로운 세대의 초콜릿을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2. Neuhaus 노이하우스 1857년 이탈리아 출신의 스위스인 장 노이하우..

초콜릿과 약

초콜릿과 약 19세기까지 초콜릿은 그 특성에 대해 여러가지로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때때로 찬양을 받기도 하고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당시 많은 의사들과 영양사들에게 매우 큰 관심의 대상이 었으며, 식품으로 미식가들의 선호를 받는 것과 더불어 그 영양학적 특성이 큰 관심이 되었습니다. 1. 초콜릿에 대한 긍정과 부정 과거 초콜릿이 등장하고 많은 긍정적인 부분으로 초콜릿은 포장되고 평가되었습니다. 특히 의학자들은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초콜릿을 권장하며 기적의 치료물질로 여겼습니다. 마야인들이 카카오 나무를 재배하기 시작한 4세기 초부터 초콜릿은 어떠한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당시의 주술사들은 카카오를 자극제나 진정제로 처방했었고, 전사들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음료로..

벨기에 초콜릿 박물관_브뤼셀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

벨기에 초콜릿 박물관_브뤼셀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 벨기에 첫 초콜릿 박물관인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는 브뤼셀 시내 중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랑 플라스 오줌싸게 동상에서 몇분 걸리지 않는 거리 골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줌싸개 동상 앞 수많은 사람들을 지나 벨기에 와플 가게와 감자튀김 가게들을 지나 치다 보면 작은 카누가 있는 골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 이곳이 "초코 스토리 Choco-Story Brussels" 입니다. 그냥 그랑플라스와 그 인근 주변을 천천히 구경하면서 돌아 다니다 보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개별 방문 및 그룹으로 방문이 가능하며 2023년 개별 방문 가격의 경우 성인 1인 13유로, 12~26세 청소년/ 65세..

카카오가 지구온난화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수있다면?

초콜릿과 지구온난화~ 거의 6,000년 전 아마존등에서 발견된 바이오 숯은 다양한 유기 물질을 연소방지를 하기 위해 산소 없이 매우 높은 온도에서 화학적 분해를 통해 얻은 식물을 원료로 하는 숯입니다. 오늘날 이 그린 숯은 종종 토양의 질과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용됩니다. 사용되는 유기물 대부분이 산림 잔류물과 농업 폐기물에서 나오며 일부 회사에서 카카오 나무의 열매를 바이오 숯 생산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 시작하였습니다. 실제로 카카오는 그 고유한 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걸림돌이 있긴 하지만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즉, 고열을 통해 생산된 카카오 나무 열매 숯이 석탄을 대체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많은 초콜릿 애호가들이 알고 있..

소금 버터 카라멜 | Les caramels au beurre salé | Salted butter Caramel

소금 버터 카라멜 | Les caramels au beurre salé | Salted butter Caramel 카라멜 200개 분량 | 36cm x 36cm x 2cm 사이즈 1개 틀 분량 - 1kg 휘핑크림 - 1kg 설탕 - 70g 전화당(트리몰린) - 700g 글뤼코즈 - 2개 바닐라 빈 - 2g 소금 - 60g 하프솔티드버터 - 10g 카카오 버터 - 50g 다진 로스트 아몬드 유럽에서 디저트, 간식, 사탕 등으로 카라멜을 먹을때 가장 클래식하게 즐기는 카라멜이 "소금 버터 카라멜 | Les caramels au beurre salé 레 꺄하멜 오 버흐 쌀레 | Salted butter Caramel 쏠티드 버러 케러멜 "입니다. 단짠을 제대로 즐길수 있는 당과이며 만들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

초콜릿과 교회~

초콜릿과 교회~ 카톨릭 교회는 초콜릿 역사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습니다. 17~18세기 유럽의 식민지 개척시절 카톨릭 교회의 힘을 높이기로 결심한 예수회는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주요한 정치세력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신세계의 탐험가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예수회의 선교사들에 의해 초콜릿은 수도원과 수녀원의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유럽 전역에 소개되었습니다. 18세기까지 수도자들과 수녀들은 아즈텍인들이 전하는 방법에 따라 카카오빈으로 초콜릿 음료를 만들었습니다. 1648년 출판된 성직자 토마스 게지 Thomas Gage의 여행서적에서 금욕 생활이 필요한 교회에서 실제적인 종교적 실천 보다 초콜릿 음료에 대한 노하우를 더 많이 이야기했습니다. 신대륙에서 교회는 일반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태도를 취해왔습니다. 초..

카카오빈에서 초콜릿까지 발전 과정 2

음료에서 초콜릿으로 발전 과정~ 코엔라드 반 호우튼 Coenraad Van Houten 유압프레스 초기 초콜릿은 성분이 매우 풍부한 음료였습니다. 지방질인 카카오 버터를 포함하고 그 지방질은 표면에 흥건한 상태로 남게되어 식욕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나았습니다.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여 이 지방질을 제거했던아즈텍인들의 전통처럼 카카오 음료 제조자들은 전분성분이 포함된 물질을 통해 지방질을 어느 정도 흡수, 제거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수년에 걸쳐 쇼콜라티에들은 카카오버터를 제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습니다. 이에 1828년 네덜란드 화학자 코엔라드 반 호우튼 Coenraad Van Houten은 매우 기능적인 새로운 유압 프레스를 특허출원합니다. 이 기계를 통해 카카오빈 분쇄후 카..

카카오빈에서 초콜릿까지 발전 과정 1

카카오빈에서 카카오 음료까지 발전 과정~ 아즈텍인들이 즐겨마신 카카오 음료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핫쵸코같은 크리미하고 풍미가 풍부하며 부드러운 음료하고는 크게 달랐습니다. 아즈텍인들의 카카오 음료는 쓴맛이 나고 기름지며 차가운 상태에서 제공되었습니다. 이 음료를 접한 유럽인들이 다양한 기술을 하였지만 16세기 이탈리아 식물학자 지라몰로 벤조니 Giramolo BENZONI는 아즈텍인들의 음료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아즈텍인들은 필요한 만큼 카카오 빈을 가져와 토기에 넣고 불 위에서 말립니다. 그런 다음 두 돌 사이에서 부수고 가루로 만듭니다. 그리고 얻은 그 가루를 호리병박에 담고 물로 조금씩 적셔가며 고추를 첨가합니다. 검소한 사람들은 카카오가루, 옥수수, 고추 조금과 아니스 열매만 첨가합..

빠뜨 드 프뤼 망고/귤 Les pâtes de fruits mangue et mandarine

빠뜨 드 프뤼 pâtes de fruits 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당과들은 대부분 과육과 그 주스, 펙틴, 설탕, 글뤼코즈, 주석산(acide tartrique)/ 구연산(acide citrique)으로 만들어진 젤라틴화된 사탕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사용하는 과일에 따라 펙틴의 사용 퍼센테이지가 다양하다. 하지만 사용하는 과일과 펙틴등의 필요양이 다르더라도 제조과정과 방법은 항상 동일하다. 제조과정 1. 과일 퓨레(과육과 주스) 와 설탕을 준비해 끓이기 시작 2. 글뤼코즈 첨가해 잘 섞으면서 끓임 3. 50도 정도 이르면 펙틴을 첨가함 (처음부터 과육과 설탕, 글뤼코즈를 넣고 끓이기 시작하다 펙틴을 넣고 제조를 시작해도 무방함) 4. 선택한 과일에 따라 107~109도 전후로 끓임 (정확한 제조를 ..

초콜릿 보관 주의 사항~

초콜릿 보관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보자~ 초콜릿과 초콜릿을 이용한 생산품을 영원히 보관할 수는 없고 초콜릿 제품에 따라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맛이 변질되고, 향이 달라지며, 초콜릿의 지방질이 도드라져 불쾌한 식감을 주기까지 합니다. 따라서 초콜릿 본연의 맛을 지키고 예기치 못한 변질, 변형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제품을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능한 최소 1일부터 최대 15일까지 기간내에 초콜릿이 최상의 맛과 향을 지니고 있을 때 소비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소비에 가장 이상적인 초콜릿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요소별 간략한 정보 아래 제공하니 초콜릿 생산 및 소비에 참고 하면 좋겠습니다. 이상적인 초콜릿 보관을 위해 고려해야하는 요소들~1. 시간 가능한..